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601

숨만 쉬어도 살 잘 빠지는 체질 만드는 방법 사람의 뇌는 아주 많은 습관들을 반응형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. 밥 먹고 나서 자꾸 누워 자고 그러면 나중엔 밥만 먹어도 뇌가 반응해서 저절로 졸리게 되고 커피를 마실 때마다 빵을 같이 먹다 보면 나중엔 커피만 봐도 뇌가 반응해서 빵이 같이 생각나게 됩니다. 대사 반응도 마찬가지입니다. 몸에서 당 떨어진다고 간신 같은 거 자꾸 먹고 그러면 이제 당 떨어질 때마다 뇌가 반응해서 계속 간식 먹어야 된다고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. 당 떨어졌을 때 내 몸은 뭘 할까? 흔히들 우스갯소리로 당 떨어졌다는 말을 많이들 하시죠? 당은 사람 몸을 작동하게 만드는 연료라고 볼 수 있는데 정상적인 식사를 했을 경우 식사때 먹었던 당은 다음 식사시간 되기 전에 이미 다 떨어지기 마련입니다. 그러니깐 당 떨어졌다는 말은 맞는 말이.. 2023. 12. 7.
먹방 유튜버들이 많이 먹어도 잘 안찌는 이유 방법 특정 유튜버가 아닌 일반적인 먹방 유튜버 직업군에 대한 정보 및 소견을 담고 있습니다. 소화 흡수 용량의 비밀 먹방하는 사람들 먹는 것들 보면 많이 먹는데도 살이 찌지 않고 매일 그대로인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.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요? 먹은 게 몸으로 들어갔는데도 체중이 안느는 건지? 먹은 건 체중으로 그대로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. 내가 음식을 1kg을 먹었다면 그 1kg이 뱃속으로 들어간 거기 때문에 체중도 그대로 1kg이 늘게 됩니다. 이거는 물리적으로 절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. 다만, 먹어도 살이 안 찌게 되는 차이는 이거를 흡수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건데 사람 몸에는 이 정도까지 흡수하자 하고 기억해 놓는 소화 흡수 용량이 있습니다. 이 이상은 먹더라도 흡수율이 떨어지고 .. 2023. 12. 5.
살 안 찌는 체질이 되려면 뇌 신호를 다시 세팅하자 다이어트할 때 제일 거지 같은 게 뭔가요? 다른 사람은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찌는데 나는 조금만 먹어도 살이 막 찌잖아요? 이게 세상에서 제일 억울하죠? 저런 살 안 찌는 체질이 되는 게 소원이 사람이 많을 텐데 오늘 소원을 이뤄드리겠습니다. 살 안 찌는 체질이 되려면? 사람이 뭘 먹을 때 한 번에 많은 양을 먹게 되면 그걸 몸에서 소비를 못해가지고 많은 당이 체지방으로 전환되게 되는데 이게 바로 몸을 쉽게 살찌는 체질로 만드는 제일 큰 주범입니다. 그래서 일단 한 번에 먹는 양을 줄이는 게 몸을 살 안 찌는 체질로 바꾸는 필수 작업인데 그러면 이제 먹는 걸 의지를 갖고 참으면 되냐? 그렇게 해서 될 거 같으면 개나 소나 다 성공하겠죠? 의지 말고 대신에 더 좋은 의학적인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뇌 신호.. 2023. 12. 4.
살이 제일 많이 빠지는 걷기 방법 여러 건강 프로그램 같은 곳에서 보면 걷기 운동이 다이어트에 좋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볼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요즘 공원 같은데 나가보면 열심히 걷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들 볼 수 있죠. 근데 내가 나가서 실제로 걸어보면 어떤가요? 살이 잘 빠지나요? 걷기 운동이 실제로 다이어트에 아주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건 맞습니다. 다만, 그 프로그램들에서 이 한 가지 말을 안 해줘서 그렇습니다. 살 빠지는 걷기 방법 걷기로 체지방을 태우려면 그냥 걸으면 안 되고 유산소 효과를 내는 방법으로 걸어야 살을 뺄 수가 있습니다. 이게 무슨 말이냐면 심박수를 올려야 된다는 말입니다. 심박수를 올리게 되면 대사량이 많아져서 몸에서 활동 에너지를 충당하려고 체지방을 태워서 쓰게 되는데 이게 바로 유산소운동으로 살이 빠지는 원.. 2023. 12. 2.
반응형